Start planning your trip

가스와 전기를 사용하기 전까지, 일본에서는 주로 초나 등잔 기름으로 켠 불을 조명으로 이용했습니다. 그때 사용한 것은 등롱(灯籠), 행등(行燈), 제등(提灯) 등의 조명기구가 있습니다. 현대 네온사인의 경우를 제외하고, 외국인 분들이 야경을 보고 '아, 일본적이다'라고 생각하는 것은 이들 조명기구의 영향이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 같습니다. 이번에는 외국인 분들은 구분하기 어려운 일본전통의 조명기구의 차이를 소개하겠습니다.
가스와 전기를 사용하기 전까지, 일본에서는 주로 초나 등잔 기름으로 켠 불을 조명으로 이용했습니다. 그때 사용한 것은 등롱(灯籠), 행등(行燈), 제등(提灯) 등의 조명기구가 있습니다.
현대 네온사인의 경우를 제외하고, 외국인 분들이 야경을 보고 '아, 일본적이다'라고 생각하는 것은 이들 조명기구의 영향이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 같습니다. 이번에는 외국인 분들은 구분하기 어려운 일본전통의 조명기구의 차이를 소개하겠습니다.
등롱은 주로 밖에서 사용되는, 지금으로 말하자면 가로등입니다. 등롱은 '불'의 '바구니'라는 의미로, 그 이름 그대로 촛불이 바람에 꺼지지 않도록 주위를 감싼 도구입니다. 소재로는 나무나 금속 등 여러가지를 사용하는데, 돌로 만든 것은 석등롱(石灯籠)이라고 부릅니다. 석등록은 절에서 많이 설치하기 때문에 관광오실 때도 많이 보실 수 있을 거예요.
Photo by Pixta
실외에 설치된 등롱과는 달리, 주로 실내에서 사용된 것이 행등입니다. 초나 등잔 기름에 잠긴 심지에 불을 붙여서 이용했습니다. 실내에서 이용했기 때문에 가벼운 목재로 된 것이 많고, 바람을 막기위해 불 주변을 종이로 감쌌습니다. 머리맡에 둘 정도로 작은 행등은 아리아케 행등(有明行燈)이라고 부릅니다.
행등과 똑같이, 종이로 싸여 있는 등을 들고 옮기길 수 있도록 진화한 것이 제등입니다. 가볍고 손잡이가 달려있습니다. 들고 옮기기 쉬운만큼,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어서 보관할 수 있습니다. 현재는 일본풍 술집인 '이자카야'의 입구에 달려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. 그래서 일본에서는 이자카야를 '아카쵸칭(赤提灯. 붉은 제등)'이라고 부는 경우도 있습니다.
현재는 많이 사라진 이 조명기구는, 관광지와 일본적인 시설에 가면 아직 발견할 수 있습니다. 일본에 오실 때에 꼭 찾아보세요! 밤거리를 걸을 때 또다른 풍취를 느낄 수 있을 거예요.
에디터
MATCHA 편집부의 계정입니다. 방일 여행자의 알고 싶은 일본의 유용한 정보나 아직 알려지지 않은 숨겨진 일본의 매력을 발신합니다.